<소식> 국정기획위원회 & 동물권단체 간담회

페이지 정보

본문

5be852f5ef9e8456de29cc35503c2890_1751419300_8133.jpg 

<국정기획위원회 동물권단체 간담회

동물권단체 제안서 동물이 생명으로 존중받는 사회로의 전환

 

일시: 6월 30일 일요일 오후 5시 – 7시 정부서울청사 인근

참석자경제2분과 윤준병 위원위성곤 위원 등 국정위 위원

동물권단체동물권연구변호사단체 PNR, 동물권행동 카라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동물자유연대살처분폐지연대생명체학대방지포럼생명환경권행동 제주비건

 

<주요 과제 1> 위기동물의 사회적 안전망 구축

세부과제 [중요피학대동물 보호를 위한 몰수 및 사육금지제도 도입

세부과제 2 [중요유실·유기동물의 실효적 보호를 위한 보호시설 개선 및 기능 강화

동물보호센터 직영 전환 및 시설인력예산 확충 동물복지를 고려한 세부 운영지침 마련으로 동물보호 수준 제고(자연사율 감소 목표(30%15%)

도심 동물입양센터 안테나샵 확충 민간동물보호시설 환경 개선 지원

세부과제 3. 동물학대 범위 확대 및 학대 대응 체계 마련

동물 방임·방치 행위(반려동물 사육·관리·보호의무 위반 등포섭 등 동물학대 관리 사각지대 감소

동물학대 대응 전문인력 확충매뉴얼 마련 등

세부과제 3. 재난재해 시 동물구호를 위한 제도 및 역량 강화

 

<주요 과제 2> 반려동물 영업 규제 강화

세부과제 1 [중요변칙 영업(사육포기·유기동물 위탁받아 판매동물 대여 후 판매보호소 표방 등금지

세부과제 2 [중요반려동물 대규모 생산 금지 및 영업자 관리 감독 강화

총 사육 마릿수 및 출산 횟수 제한 등 반려동물 대규모 생산 금지

생산업 환경인력동물복지 기준 상향 및 관리 감독 강화

반려동물영업 허가 갱신제 도입 및 수시 점검단 통한 단속 강화

동물판매업자의 온라인 광고 규제 등 판매업자 준수사항 및 관리 감독 강화

중개업(경매금지 생산자-구매자 직거래 구조로 전환

세부과제 3. 반려동물 매매 구조 폐지

 

<주요과제 3> 산업 속 동물의 피해 양적·질적 감축

세부과제 1 [중요동물대체시험법 활성화(개발·표준화 지원 등통한 실험 이용동물 감축 및 동물실험 단계적 축소 로드맵 수립

높은 고통등급비율실험동물 수 감축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마련·시행 (극심한 고통등급 비율: EU 9.2% vs. 우리나라 44.6%)

세부과제 2 [중요축종별 농장동물 복지 가이드라인 마련 및 농가 준수 유인책(인센티브마련 운송-도축 전반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

세부과제 3 [중요살처분 최소화를 위한 방역정책 전환 살처분 실태 조사 체계 마련 및 투명성 확보

예방적 살처분 축소 및 예방체계 확대

전염병 대응의 투명성을 위해살처분 기준비용용역업체 선정처리 과정지역별 두수 등을 매달 정기적으로 공개하는 국가 단위 정보공개 체계 마련 및 접근성 개선

세부과제 4 [중요밀집형 농장동물 관리 시스템의 단계적 폐지를 위한 로드맵 구축·실현

세부과제 5 [중요말 복지·관리 체계를 위한 이력·소유자 등록 의무화 추진 경주마 과도 생산 구조 개편 퇴역 경주마 복지체계 구축 승마장 환경 개선 / (퇴역)경주마 도축 단계적 금지 구조마 쉘터 구축

세부과제 봉사동물 복지 체계 마련국가·국민 위해 헌신하는 구조견장애인보조견 등의 복지 증진 체계은퇴 후 입양 지원 등

세부과제 소 싸움 금지 동물 이용 축제를 생명존중 축제로 전환

세부과제 동물원수족관의 사육 환경 개선 체험동물원 등 오락 목적 시설 규제

세부과제 동물실험 감시 강화 체계 마련실험기관에 대한 지도감독 강화 산업적 이해관계에서 독립적이고 실험동물의 고통(이익)을 우선시하는 전문가 중심의 감시·감독교육 체계 구축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외부 위원의 활성화 대책 마련

세부과제 10 산업에서 벗어난 동물의 삶을 위한 생추어리 확충 및 지원 체계 마련

세부과제 11 개 식용 산업의 안전한 종식을 위한 정책 수립도살행위 적극 단속 등 산업의 조기 종식 이행 개농장 개들의 보호·입양 방안 등 마련

 

<주요 과제 4> 책임감 있는 반려문화 조성 및 지원

세부과제 1 [중요등록 갱신제 도입 등 반려동물등록제 개선 반려동물 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축

세부과제 2 [중요입양 전 교육 의무화 등 소유자 책임 강화

세부과제 3 [중요마당개 환경 개선 및 중성화 사업 확대

도심 외 지역 동물복지 인식·환경 개선 지원중성화수술 지원 통해 유실·유기동물 발생 방지

세부과제 표준수가제 도입 등 진료비 부담 완화 반려동물 진료소 등 인프라 확충

 

<주요과제 5> 전 국가적인 생명존중’ 가치 보호 실현

세부과제 1 [중요(법체계 및 조직 정비) 동물복지기본법’